Cloud

AWS 사용하는 이유, 온프레미스와 장단점 비교

2024.11.25개발팀장ㅣDerek

🚀 왜 많은 개발자들이 AWS와 EC2를 선택할까?

 

안녕하세요, 긱다이브 Derek입니다. 오늘은 많은 AWS와 On-premise와 장단점을 이야기 하려합니다.

 

 

💡 배포 환경의 변화

 

몇 년 전만 해도 배포는 대부분 온프레미스(On-Premise) 환경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직접 물리 서버를 구매하고,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데이터센터를 유지보수하며 서비스를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죠.하지만 클라우드 기술의 발전과 함께 AWS, Azure, GCP와 같은 클라우드 플랫폼들이 등장하며 배포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많은 엔지니어와 기업들이 클라우드 환경에서 베포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클라우드 vs 온프레미스, 그리고 왜 AWS와 EC2가 현재 배포의 표준처럼 자리 잡았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 클라우드 vs 온프레미스: 무엇이 다를까?

 

배포 환경을 선택할 때 가장 먼저 고민하는 것은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입니다. 두 환경은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어요. 먼저 이를 비교해 볼게요.

 

🏢 온프레미스: 과거의 전통적인 방식

 

온프레미스란, 말 그대로 직접 서버를 소유하고 운영하는 방식입니다. 한때는 이것이 표준이었죠. 회사의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모든 장비를 구매 및 관리했습니다.

 

  • 장점:
    • 높은 보안성: 데이터를 내부망에서만 관리.
    • 커스터마이징 가능: 인프라를 필요에 맞게 조정 가능.
    • 장기적으로 낮은 비용: 클라우드 대비 장기적으로는 비용이 낮음.

       

  • 단점:
    • 초기 비용 부담: 서버 구매와 데이터센터 구축 비용이 큼.
    • 유지보수의 어려움: 네트워크 구성, 장애 복구 등 모든 것을 직접 관리.
    • 확장성 부족: 사용량 증가 시 새로운 서버를 구매해야 함.

 

☁️ 클라우드: 현대적인 배포의 중심

 

클라우드는 IT 인프라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에는 AWS(Amazon Web Services), GCP(Google Cloud Platform), Azure(Microsoft)와 같은 클라우드 제공자가 있죠. 회사는 물리적인 서버를 소유하지 않고, 필요한 만큼 리소스를 사용한 뒤 비용을 지불합니다.

 

  • 장점:
    • 초기 비용 절감: 하드웨어 구매 불필요.
    • 확장성: 트래픽이 많아질 때 빠르게 리소스를 확장 가능.
    • 운영 효율성: 유지보수,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걱정 없음.
    • 글로벌 접근성: 데이터센터가 세계 곳곳에 위치.

       

  • 단점:
    • 지속적인 비용 부담: 사용량에 따라 비용 증가.
    • 보안 우려: 데이터가 클라우드 제공자의 서버에 저장.
    • 벤더 종속성: 특정 클라우드에 의존할 위험.

 

클라우드가 대세인 이유

 

결국 클라우드는 빠른 배포, 유연한 확장, 낮은 초기 비용이라는 강력한 장점 덕분에 많은 기업들이 선택하는 방식이 되었습니다. 특히 스타트업과 같이 초기 자본이 부족한 회사들은 초기 자본이 필요하지 않은 클라우드 방식을 더더욱 선호하고 있습니다.

 

 


 

 

🔑 AWS를 선택하는 이유

 

클라우드 서비스는 AWS, Azure, GCP 등 다양한 선택지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많은 기업들이 AWS를 선호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AWS의 강점

 

  1. 최초의 클라우드 선두주자

    AWS는 2006년에 첫 번째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작하며 업계의 리더로 자리 잡았습니다. 지금까지 가장 많은 서비스와 기능을 제공하며, 기술적으로도 성숙한 플랫폼입니다.

     

  2. 다양한 서비스 생태계

    AWS는 단순히 서버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RDS), 저장소(S3), 컨테이너 관리(EKS), 서버리스(Lambda)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하나의 플랫폼에서 필요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3. 글로벌 네트워크

    AWS는 전 세계에 데이터센터를 보유하고 있어 글로벌 서비스를 운영하기에 적합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낮은 지연 시간높은 안정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4. 비용 관리와 유연성

    AWS는 Pay-As-You-Go(사용한 만큼 지불) 방식을 도입하여 비용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합니다. 또한 프리티어(Free Tier)를 통해 초기에 테스트 및 학습 용도로 사용하기 좋습니다.

     


 

 

🚀 EC2로 시작하는 Monolithic 배포

 

Monolithic 아키텍처란?

 

  • Monolithic Architecture(모놀리식 아키텍처)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모든 기능(예: 인증, 결제, 사용자 관리 등)을 포함하는 방식입니다. 초기 개발이 단순하고 관리가 용이해, 스타트업과 같은 소규모 팀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 장점:
    • 간단한 개발 및 배포: 하나의 코드베이스로 모든 기능을 관리.
    • 초기 리소스 절약: 복잡한 설정 없이 단일 서버에서 실행 가능.
    • 디버깅이 쉬움: 모든 코드가 한곳에 있어 문제를 추적하기 용이.
  • 단점:
    • 확장성 부족: 애플리케이션 전체를 확장해야 함.
    • 장애 전파 위험: 한 기능의 문제가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업데이트 비효율: 작은 변경 사항에도 전체를 재배포해야 함.

 

EC2를 활용한 Monolithic 배포

초기에 Monolithic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경우, AWS의 EC2(Elastic Compute Cloud)가 가장 적합합니다. EC2는 AWS가 제공하는 가상 서버로, 온프레미스 환경과 유사한 방식으로 서버를 설정하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

 

EC2를 선택하는 이유

  1. 높은 유연성: 사용자가 OS, 네트워크, 스토리지를 자유롭게 설정 가능.
  2. 간단한 시작: 기존 온프레미스 환경과 유사해 쉽게 적응 가능.
  3. 유지보수 최소화: AWS가 물리 서버의 관리와 유지보수를 대신 처리.

 


 

 

🔄 점진적인 MSA로의 전환: AWS 서비스 활용

 

MSA란?

  • Microservices Architecture(MSA)는 애플리케이션을 독립적인 서비스 단위로 분리하는 방식입니다. 각 서비스는 독립적으로 배포 및 확장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기술 스택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Monolithic 아키텍처로 서비스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트래픽 처리, 점점 많아지는 비즈니스 로직의 분리, 서비스의 성능 향상 등의 이유로 MSA로의 전환이 필요해질 수 있습니다.

  • 장점:

    • 독립적 확장: 특정 기능만 확장 가능.
    • 빠른 배포 주기: 서비스 단위로 별도 배포 가능.
    • 장애 격리: 하나의 서비스가 실패해도 전체 시스템에는 영향 없음.

     

  • 단점:
    • 복잡성 증가: 서비스 간 통신, 데이터 관리 등 추가 작업 필요.
    • 초기 설계 부담: 서비스 분리를 위한 철저한 계획이 필요.

 

EC2에서 시작해 AWS 서비스를 활용한 MSA로 전환하기

 

1. EC2로 Monolithic 배포 시작

  • 초기에는 EC2 한 대에 모든 기능을 포함한 Monolithic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합니다.
  • 간단한 설정과 코드 관리로 빠르게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습니다.

2. S3와 RDS로 분리

  • 정적 자산(이미지, CSS 등)을 S3로 분리해 EC2의 부하를 줄입니다.
  • 데이터베이스를 EC2 내부에서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로 이전해 관리와 확장성을 개선합니다.

3. ECS/EKS로 컨테이너화

  • Monolithic 애플리케이션을 Docker 컨테이너로 패키징하고, 이를  ECS(Amazon Elastic Container Service)나  EKS(Amazon Elastic Kubernetes Service)로 배포합니다.
  • 컨테이너 환경은 MSA로 전환하는 첫 단계로 적합합니다.

4. Lambda로 특정 기능 서버리스 전환

  • 자주 호출되지 않거나 독립적으로 실행 가능한 기능은 Lambda로 전환해 서버리스 환경을 도입합니다.
  • 예: 이미지 처리, 이벤트 기반 작업 등.

5. API Gateway로 서비스 통합

  • 모든 마이크로서비스는 API Gateway를 통해 통합적으로 관리합니다. 이를 통해 외부 요청을 적절한 서비스로 라우팅할 수 있습니다.

 


 

 

AWS와 EC2로 시작해 MSA로 확장하기

프로젝트 초기에는 EC2 기반의 Monolithic 아키텍처로 간단하게 시작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하지만 서비스가 성장함에 따라 AWS의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해 MSA로 점진적으로 전환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AWS는 EC2부터 RDS, S3, ECS, Lambda, API Gateway까지 모든 단계를 지원하는 강력한 생태계를 제공합니다. 이를 활용하면  빠른 배포, 유연한 확장성, 높은 운영 효율성을 동시에 누릴 수 있습니다.

배포 환경을 고민 중이라면, AWS와 EC2로 시작해 점진적으로 MSA로 전환하는 방식을 추천합니다. 🚀

 

 


 

 

❓ Q&A

Q1. EC2에서 바로 MSA로 전환해야 하나요?

A1. 아니요. 서비스 초기에는 Monolithic 방식으로 시작한 뒤, 필요에 따라 MSA로 전환하는 것이 비용과 효율성 면에서 유리합니다.

Q2. MSA로 전환할 때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요?

A2. 서비스 분리 기준을 정의하고, 서비스 간 통신과 데이터 관리를 설계하는 것이 가장 어렵습니다. 이를 위해 철저한 계획이 필요합니다.

Q3. 서버리스 환경(Lambda)로만 운영하는 것도 가능할까요?

A3. 가능합니다. 하지만 Lambda는 특정 워크로드에만 적합하므로, 복잡한 서비스에는 EC2나 ECS와 병행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추천컬럼

추천컬럼 이미지

상위1%의 결과물을 얻으려면 이런 관점으로 봐야합니다.

2024.09.20
추천컬럼 이미지

200건 이상 프로젝트 성공으로 실력이 검증된 개발 회사?

2024.09.20

상담만 받아보셔도 좋습니다 긱다이브의 상담으로 업체 비교를 시작해보세요

CONTACT US